엑스닷컴 (X.com, 트위터)에서 발생하는 API 초과 오류 해결 방법


X.com 트위터를 사용하다 보면 발생하는 조금은 흔이 있는 증상입니다. 매우 자주 발생하는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희귀할 정도로 큰 문제도 아닙니다. 약간의 기술을 익히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시스템이나 어플리케이션에서 발행하는 버그나 오류로 생겨나는 에러가 아닙니다. 이것은 운영자가 사용자를 단속하기 위해서 일부러 발생 시키는 오류입니다. 

왜냐하면 사람의 손과 눈으로 하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는 지나치게 빠른 작업 속도를 보이는 사용자들이 자꾸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런 엄청난 속도는 어김 없이 "어뷰징용 어플, 앱 혹은 봇"을 사용하는 유저들이 발생 시키기 때문에, 그 지나치게 빠른 사용 속도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1. X.com의 API 초과 문제 발생 원인 

아주 작은 시간 이내에 너무나 많은 트윗, 리트윗, 인용, 댓글, 좋아요 아니면 DM까지 무더기로 발송한 경우 

타사에서 제작된 어플이나 앱, 봇 등이 지나친 요청을 일으켜 어뷰징성을 의심 받는 경우 

사소한 이유이지만, 글은 읽는 건지 안읽는 건지 모르겠을 정도로 너무 빠르게 마우스 스크롤을 내리면 '페이지 업데이트'가 연속으로 발생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2. X.com의 API 초과 문제 해결 방법 

1) 기다리기 

X.com의 API 초과 문제는 그냥 가만히 놔두면 일정 시간 후에 저절로 풀립니다. 

제한 시간 

  • 일반적인 경우 - 60분 이내 자동 해결 
  • DM 제한 - 24시간 이내 500통 이상 발송 시 차단 (내일 해제) 
  • 트위, 리트윗, 인용 제한 - 3시간 이내 300개 이상 트윗 시 차단

해결 방법 

  • 15분 이상 어느 정도 기다려 본 뒤에 다시 시도 해 본다. 
  • 2~3시간이 지나도 해결되지 않으면 다른 방법을 써 보아야 한다. 

2) 재로그인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 

  • 다른 여러 문제들에서도 흔히 사용하는 초기화 방법입니다. 

혹시 가능하면 앱이나 어플을 완전히 내렸다가 다시 올려서 로그인을 하면 더 좋은 효과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3) IP 변경 연결 

컴퓨터나 핸드폰의 IP를 변경해서 접속하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IP가 제재에 걸린 경우에는 해결이 되지만, 로그인 아이디가 제재에 걸린 경우에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IP 변경하는 방법 

  • 사용하던 것 이외의 다른 와이파이 망으로 접속 후 로그인 
  •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해 접속 후 로그인 (데이타 사용 요금 발생 함.) 
  • VPN 망을 통해 접속 후 로그인 

4) Web에서 X.com 접속 후 사용해 보기 

전용 앱으로 접속하지 말고, 모바일이든 PC든 크롬이나 사파리 같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X.com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 경우 사용 편의성이 조금 떨어지고, 또 앱에서만 전용으로 작동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으나, API 초과 제재가 걸리지 않았다면, 일단 기본적인 기능은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5) 캐시 삭제 후 앱 재설치 

캐시가 꼬이거나 앱 자체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그리 드문 경우는 아닙니다. 그럴 경우 깨끗하게 정리하면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에 조금 귀찮을 수는 있으나, 해결은 쉽게 되는 편입니다. 

캐시 삭제 방법 

  • 설정 > 앱 > X.com > 저장공간 > 캐시 삭제 
  • 앱을 닫았다가 재실행 
  • 재설치 방법 

X.com 앱 삭제 

앱스토어 or 플레이 스토어 에서 다시 다운로드 설치 

6) 그래도 계속해서 안 풀리면 

고객센터에 문의 

고객센터에서 상황을 검토 후 해제해 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반드시 풀어주는 것은 아니므로 너무 많이 기대할 필요는 없습니다. 

3. X.com API 트래픽 초과 오류를 피하는 방법 

위에서 말했듯이 요즘은 어뷰징성이나 스팸성 앱이나 봇들이 너무 많이 성행하는 시대이므로 X.com 측에서도 단속을 강화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너무나 짧은 시간 안에 너무 많은 트래픽을 일으키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제재를 하는데, 한두번은 우연히 그럴 수도 있는 취지로 풀어주지만, 너무 자주 그런 일을 일으키게 되면 제재를 점점 더 잘 안풀어 주게 됩니다. 

원래 그런 일을 하시는 업자 분들은 계폭(계정폭파)를 각오하고 마구 뿌리시다가 걸리면 계정을 버리고 다른 계정을 또 파서 하시기 때문에 문제가 안될 수도 있지만, 일반 유저가 시스템의 오해로 그런 일을 당하게 되면 뜻하지 않은 피해가 되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방법 

트윗, 리트윗, 인용, 좋아요 등을 글은 읽지도 않으면서 계속 마구 눌러대지 않기, 특히나 링크된 신문기사 등의 '글'을 읽지도 않고 (클릭하지도 않고) '좋아요'를 누르거나 '댓글'을 쓰는 행위는 어뷰징이나 스팸성으로 오해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 봇이나 매크로는 쓰지 마세요. 

X.com의 앱은 약 30개 정도의 글을 단위로 그 대문 피드를 업데이트 합니다. 스크롤을 너무 빠르게 내리면 아주 짧은 시간 안에 30개 정도의 글에 대해 다시 업데이트 혹은 다른 글을 추가로 업데이트 해 달라는 요청이 됩니다. 그러면 글은 읽지도 않으면서 추가 요청을 하는 것으로 오해 받을 수 있습니다. 

오랫만에 X에 들어가서, '나를 팔로우 하는 친구' 메뉴에 들어가서 쌓여있는 팔로워들에게 맞팔을 날리는 것은 좋은 행동일 수도 있으나, 너무 빠르게 '클릭, 클릭, 클릭' 하는 것은 API 초과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의도는 모두 위에서 말한 것과 같습니다. 사람이 손과 눈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문제 삼지 않습니다. 그러나 봇이나 매크로 수준의 속도로 트래픽을 일으키면 문제가 됩니다. 참고 바랍니다.

FAQ 

Q1. 사용제한(Quota) 초과가 왜 발생하나요?

A1. 보통 분당/시간당/일일 요청 수, 동시 연결 수, 또는 특정 엔드포인트별 호출 한도를 넘겼을 때 발생합니다. 스파이크 트래픽(짧은 시간 폭증), 재시도 로직 오류(무한 재시도), 비효율적 페이징(한꺼번에 과도한 데이터 요청)도 원인이 됩니다.

Q2. 지금 당장 응급 대처는 어떻게 하나요?

A2. 클라이언트에서 지수적 백오프(예: 1s→2s→4s…)로 재시도 간격을 늘리고, 최대 재시도 횟수를 제한하세요. 동시에 요청량을 낮추기 위해 큐(메시지 큐/작업 큐)로 직렬화하거나, 동시 처리 스레드 수를 임시로 줄이세요. 캐시가 가능하면 동일 질의는 캐시로 응답해 추가 호출을 막습니다.

Q3. 재발 방지를 위한 구조적 개선은 무엇이 있나요?

A3. (1) 속도 제한기(rate limiter) 도입(토큰 버킷/리키 버킷) (2) 결과 캐싱(키 기반 TTL, 조건부 요청) (3) 페이징·필드 마스킹으로 최소 데이터만 요청 (4) 배치 처리 및 스케줄 분산(야간 처리) (5) 중복 호출 방지용 디듀플리케이션 키 적용 등을 권장합니다.

Q4. 과금/요금제와도 관련이 있나요?

A4. 일부 서비스는 무료 요금제·시험판에 더 낮은 한도를 적용합니다. 상향이 필요하면 유료 플랜 업그레이드, 엔드포인트별 추가 한도 신청, 신용카드/빌링 활성화 등을 검토하세요. 다만 요금제 변경 전에는 실제 필요 요청량과 피크 패턴을 계측해 낭비가 없는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한도 초기화 시점과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나요?

A5. 리셋 주기는 보통 “분/시간/일 단위”로 설정되지만 서비스마다 다릅니다. 제공되는 헤더(남은 호출 수, 리셋 타임스탬프)나 대시보드를 확인해 남은 쿼터를 모니터링하세요. 알림(슬랙/이메일/웹훅) 임계값을 설정해 임계치 도달 시 자동으로 트래픽을 감속하거나 관리자에게 통지되게 하면 안전합니다.

결론 및 핵심 요약 

  1. 15~60분 정도 기다리면 대부분 저절로 해결 됨. 
  2. 재로그인 시도도 경우에 따라 효과가 있음 
  3. 데이터 통신망으로 접속해 보기 (과금 발생 주의) 
  4. 웹으로 접속 해보기 
  5. 캐시 삭제 혹은 앱 재설치 후 시도 해 보기 
  6. 고객센터에 문의 

댓글 쓰기

0 댓글

구글 애널리틱스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신고하기

프로필

이미지alt태그 입력

오른쪽 광고

왼쪽 광고